“Margaret Again, A portrait of Margaret series” ー미미정
“Margaret Again, A portrait of Margaret series” ー미미정
Item Code: MJ2
Couldn't load pickup availability
Enigmatic text has been cut from clay and joined line on line in overlapping fashion to form a vessel by London based Korean-born female artist Mimi JOUNG. This is inspired by the 1439 oil on wood painting by the Early Netherlandish master Jan van Eyck (which was a portrait of his wife) now known as Portrait of Margaret. It is 20.5 cm diameter, 25.5 cm tall (8 inches diameter, 10 inches tall) and in excellent condition, directly from the artist.
Born in South Korea in 1972, Mimi JOUNG earned an MA in Ceramics and Glass from the Royal College of Art in 2005. Based in London, her delicate, contemplative works explore themes of identity, displacement and the human condition. Her recent work draws from literature, mirroring a writer’s practice of observation and discovery. Using methods like 'tracing and clay taping,' she transforms poems, chapters and recurring words into sculptures, vessels, paintings and wall pieces blending literary inspirations - like Richard Brautigan, T.S. Eliot and Sylvia Plath - with artistic traditions ranging from Dansaekhwa’s meditative minimalism to Renaissance landscape painting. These works reflect both her personal passions and the imagined utopias and dystopias of the authors who inspire her. Her deep familiarity with materials and techniques allows her to engage with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ceramics - examining form, colour and meaning through a contemporary lens.
Public Collections:
Stadtmuseum Siegburg, Germany / Ceramic Museum of Faenza, Italy /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 Seoul Museum of Art, Seoul
==============
런던을 거점으로 한 한국 출신의 여성 아티스트, 미미 존은 점토에서 잘라낸 수수께끼 문자를 선과 선을 겹쳐 그릇의 형태로 완성했습니다. 이 작품은, 초기 플랑드르파의 거장 양 황 에이크가 1439년에 제작한 유채화(아내의 초상화)에 영감을 받고 있으며, 현재는 「마가렛의 초상화」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직경 20.5cm, 높이 25.5cm(직경 8인치, 높이 10인치)로 상태는 양호합니다. 아티스트로부터 직접 도착한 작품입니다.
1972년 한국에서 태어난 정미미는 2005년 영국 왕립예술학교(Royal College of Art)에서 도자 및 유리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런던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그녀의 섬세하고 사색적인 작품들은 정체성, 상실, 그리고 인간 조건이라는 주제를 탐구합니다. 최근 작품들은 문학에서 영감을 받아 작가의 관찰과 발견의 방식을 반영합니다. '트레이싱과 클레이 테이핑'과 같은 기법을 활용하여 그녀는 시, 장(章), 그리고 반복되는 단어들을 조각, 그릇, 그림, 그리고 벽 장식으로 탈바꿈시킵니다. 리처드 브로티건, T.S. 엘리엇, 실비아 플라스 등의 문학적 영감과 단색화의 명상적 미니멀리즘부터 르네상스 풍경화에 이르는 다양한 예술적 전통을 융합합니다. 이러한 작품들은 그녀의 개인적인 열정과 그녀에게 영감을 주는 작가들이 상상하는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를 모두 반영합니다. 재료와 기법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그녀는 도자의 역사적 의미를 탐구하며, 형태, 색채, 그리고 의미를 현대적인 시각으로 탐구합니다.
공공 소장품:
독일 지크부르크 시립박물관 / 이탈리아 파엔차 도자박물관 /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 서울시립미술관 서울관
Share
















